배송안내

최근 본 상품(0)

조합원 상담

TOP

소금으로 맛과 건강을 챙기는!
깊은바다소금의 화려한 변신
 

깊은바다소금 탄생의 시작

 

자연드림 깊은바다소금은 친환경 식품에 어울리는 ‘제대로 된 소금을 만들어보면 어떨까?’라는 고민에서 시작했습니다. 한국인의 연간 소금 섭취량은 약 3kg인데, 이 안에 들어있는 미세플라스틱은 8,000개, 환산하면 신용카드 약 4장 무게라는 사실은 자연드림과 조합원이 소금에 대한 관점을 바꾼 계기가 되었습니다. 사실, 바닷물 100L를 농축해야 소금 3kg이 나오는데, 찬찬히 살펴보면 바닷물 속 오염물질(중금속, 미세플라스틱 등)은 소금에 그대로 남을 수밖에 없는 현실입니다.

 

 


깊은 바다 600m에서 끌어 온 해양심층수는 자연드림 대표 소금, 깊은바다소금으로 탄생했습니다. 중금속 불검출! 미세플라스틱 불검출(45μm 기준)! 깊은바다소금에 다양한 재료를 더해 다채롭게 구성한 깊은바다소금 시즈닝과 간식류를 지금 만나보세요!

 


깊은바다소금을 느낄 수 있는

쿠키와 빵 

 

 

 

깊은바다 소금쿠키

 

간식을 고를 때가 신중해지는 시간 중 하나입니다. 어떤 재료를 사용하는지, 발색제나 합성향료는 없는지 꼼꼼히 살펴보시는 분들이 많을 것 같습니다. 여기서 한 가지 더 살펴보셔야 할 것이 있습니다. 바로 소금입니다. 우리가 먹는 대부분의 간식에는 소금이 필수로 들어가지요. 그래서 깊은바다 소금쿠키는 깊은바다소금을 넣어 만들었습니다. 눈에 보이지 않는 미세플라스틱까지 관리한 소금과 우리밀로 반죽해 바삭하고 고소하게 구워냈습니다.

 

깊은바다 소금빵

 

소금빵을 아시나요? 소금의 감칠맛과 고소한 버터의 조화가 환상적인 빵이죠. 드디어 자연드림에도 소금빵이 출시됐습니다. 우리밀 100%로 만든 빵에 깊은바다소금을 솔솔 뿌린 후, 그 안에 국산 버터를 넣었습니다. 국내에서 손꼽히는 프리미엄 빵으로 탄생한 거죠. 깊은바다 소금빵은 괴산자연드림파크에 오픈한 이로운베이커리 공방의 1호 신규 빵이라 그 의미가 더 큽니다. 그만큼 재료부터 생산과정까지 철저히 관리해 만들었습니다. 깊은바다 소금빵을 더 맛있게 드시고 싶다면 따뜻한 스프나 다양한 쨈과 함께해 보세요. 빵의 풍미가 더 살아난답니다.

 

미네랄과 풍미를 더한

깊은바다 시즈닝

 

 

 

깊은바다 함초소금

 

최근에는 참 많은 종류의 소금이 눈에 보입니다. 그 중 깊은바다소금으로 만든 시즈닝은 자연드림에만 있죠. 먼저, 소금에 미네랄을 더한 깊은바다 함초소금이 있습니다. 바다의 보물이라고 여기는 함초는 칼슘, 마그네슘, 칼륨 등의 미네랄과 식이섬유가 풍부합니다. 특히 함초의 식이섬유는 미역, 김, 다시마보다 약 2배 더 높다는 연구도 있죠. 영양만점 함초가 담긴 깊은바다 함초소금은 다른 조미료를 넣지 않아도 깔끔하고 시원한 요리의 맛을 살릴 수 있습니다. 찌개·탕·국류, 나물무침에 사용하세요.

 

깊은바다 후추소금

 

깊은바다소금에 풍미를 더하고 싶다면 깊은바다 후추소금을 눈여겨보세요. 깊은바다 후추소금은 소금부터 원재료까지 특별하게 구성돼 있습니다. 깊은바다소금은 물론, 유기농으로 재배한 공정무역 후추를 담아 만들었습니다. 농약과 화학비료를 사용하지 않는 생산 환경에서 생산자와 노동자들의 경제적 자립과 인권을 보호하는 무역 활동을 통해 후추를 공급받고 있지요. 깊은바다 후추소금은 스테이크나 해산물 요리, 튀김, 파스타, 스프 등에 톡톡 뿌려보세요. 풍미가 깊은 근사한 요리를 만날 수 있습니다.

 

자연드림 상품의 기본,

깊은바다소금

 


 

오늘은 대표적인 깊은바다소금 시즈닝과 빵, 쿠키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미 많은 자연드림 상품에 깊은바다소금이 들어가 있답니다. 상품 포장지에 깊은바다소금 마크를 보신 적 있으실 거예요. 자연드림은 여기서 멈추지 않고 더 많은 상품으로 확대해나갈 예정입니다.

 

원수부터 생산설비, 포장까지 미세플라스틱 0%로 관리한 깊은바다소금! 자연드림은 친환경유기식품 그 이상의 건강한 먹거리를 위해 깊은바다소금의 다채로운 변신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모두가 빠른 배송을 강조할 때, 자연드림은 바른 먹거리의 기초를 튼튼히 합니다.

 

 

 

[출처]

1) 국립 목포대학교 산학협력단 소금안전성조사 최종 보고서(2018)
2) 세계자연기금(WWF) ‘플라스틱의 인체 섭취 평가 연구’의 미세플라스틱 섭취량 무게 환산기준

3) 한국자원식물학회지, 2002, 자생식물 함초의 이화학적 성분조성 

 
스토리 공유하기

라인으로 공유 페이스북으로 공유 밴드로 공유 카카오톡으로 공유 클립보드에 복사
   
  주요 스토리  
 
 
     
 
전체글 보기